전북도내 의료기관들이 보유한 의료장비 노후화가 타 지역에 비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처지를 위해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고 이런 진단을 위해선 무엇보다 새로운 의료장비 활용률이 높아야 한다는 점에서 자칫 진단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기기로 인한 피해까지 우려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조명희의원(국민의 힘)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북지역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CT 등 특수의료장비 305대 가운데 21%인 64대가 10년 이상 된 노후장비로 확인됐다. 엑스선 장치 등 진단용 방사선 장비 역시 3149대중 20%인 631대가, 일반 장비의 경우 3만9493대중 36%에 달하는 1만4135가 노후기기였다. 특히 전북지역 의료기관 장비의 이 같은 노후화 율은 전국적으로 모두 5번째 안에 들 정도로 오래된 의료장비가 많았다. 
낡은 의료장비를 통한 진단이 많다는 것은 검사의 정확도에 의문을 가지게 할 확률이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 건강검진을 위해 가벼운 마음으로 CT검사를 한 뒤 재진을 위해 타병원을 찾았다가 또다시 CT를 재촬영하는 경우 대부분이 새 장비를 통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란 점에서 노후의료 장비가 많다는 것은 결국 환자의 부담 가중시킬 가능성 역시 그만큼 높다는 의미기도하다. 실제 특수의료장비의 경우 촬영횟수가 많아 노후화가 타 기기에 비해 빠른 것은 물론 기기 역시 대부분이 수입품 이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부품 구입도 어려워 타의료장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후화가 심하다고 한다. 일반인의 경우 장비의 노후화를 사실상 인지할 수 없는 상태이다 보니 오진에 대한 불안감이나 걱정 속에 장비에 몸을 맡기는 상황이 늘 수밖에 없는 것이다.  
프랑스나 호주, 일본 등의 경우 의료기기의 사용연수 별로 보험수가를 차등 적용하는데 반해 우리는 고가 장비라 해서 수가가 높은 것도 아니고 의료장비의 내구연한에 대한 별도기준조차 없다. 비싼 돈 들여 새 장비 교체할 필요가 없고 중고기기 사서 고쳐 쓰는 게 더 이득인 상황을 정부가 만들어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의료장비내구 연한에 관한 법적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 노후장비 사용으로 진료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개인이나 정부의 의료비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고 국민의 건강권까지 침해하는 일이다. 후진성을 탈피하지 못한 부실한 의료관리를 체계는 이제 재정비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