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교육과정을 끝내지 않고 중도에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이 전북에서만 최근 2년 동안 2천여 명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학교 밖 청소년지원과 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교육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전국 초·중·고 재학생 중 중도에 학업을 포기한 학생은 4만2755명으로 1년 전 3만2027명보다 무려 1만 명 이상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역시 지난 2020년 초등학생 131명, 중학생 137명, 고등학생 593명이 학업을 중단했지만, 지난해엔 초등학생 222명, 중학생 195명, 고등학생 765명으로 그 수가 증가했다. 모든 학교급에서 학업중단 학생이 늘어난 것으로 코로나 19를 겪으면서 원만한 학사운영이 이뤄지지 않은 데 따른 부적응 확대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지만 어떠한 이유에서건 많은 학생이 학업이나 학교생활에 대한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임은 분명하다.

가정의 경제 상황이 어려운 경우에서부터 학교생활에서 받게 되는 성적으로 인한 압박감, 상대적으로 낮은 스스로에 대한 자존감을 극복하지 못한 부적응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원인이 쌓여 안타까운 결정을 하도록 만들기에 그렇다.

실제 여성가족부가 지난 5월 내놓은 학교밖청소년 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둔 가장 큰 이유는 ‘학교를 다니는 게 의미가 없어서’ ‘다른 곳에서 원하는 것을 배우기 위해서’ 였지만 공부가 싫고 친구와의 갈등도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검정고시 등을 통해 학업을 이어가고 있다는 학생은 절반 정도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진로를 정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상태였다.

학교 밖 청소년들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 무시 등이 적지 않고 학교를 벗어나는 순간 모든 정보에서 멀어지고 자신의 진로와 미래 역시 스스로 준비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면서 위기는 시작된다. 자칫 비행문화에 휩쓸릴 수 있고 이는 학업을 이어가는 걸림돌일 뿐 아니라 건전한 사회로의 복귀를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게 한다.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나와야 한다. 학교적응보다 더 힘든 사회적응을 위한 학교 밖 지원 확대 방안도 서둘 필요가 있다. 청소년 학업중단은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 국가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