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국토부

전북이 전국에서 3년간 인구과소지역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진안군은 지난해 단위 면적(500㎡)당 인구밀도가 전북에서 가장 낮은 자치단체로 꼽혔다.

전북 등 지방 인구 감소와 인구 소멸 위험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나타내 관련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해 국토조사를 통해 전 국토를 행정구역과 격자망으로 분석 진단한 ‘2021년 국토조사’ 보고서와 ‘국토조사 국토지표 데이터베이스(DB)’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인구와 사회, 토지, 경제, 생활, 복지 등 분야별 통계 자료를 총 200여 종의 국토지표로 제공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과소지역을 500m 격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 5인 이하가 거주하는 ‘인구 과소지역’이 전 국토의 14.3%로 2018년(13.3%)에 비해 1.0%포인트 증가했다.

인구 과소지역 비율이 높으면 대체로 인구밀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유출이 발생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3.76%로 가장 낮았고, 강원이 38.61%로 가장 높았다.

이 가운데 전북은 30.02%로 도 단위에서는 낮은 편에 속했다.

하지만 전국을 특정기간 감소지역 증감비율로 보면 전북이 전국 최고치로 상황이 바뀐다.

3년 사이 인구과소지역 증감 비율을 보면 전북(30.02%)은 2018년 27.38%보다 2.64%포인트 늘어나면서 전국 최고로 인구유출이 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북에 이어 전남(28.49%→31.08%)은 2.59%포인트로 두 번째를 이었으며, 경북(34.34%→36.49%)과 경남(29.82%→31.97%)이 각각 2.15%포인트 공동 3위에 올랐다.

이어 충북(32.20%→34.17%) 1.97%포인트, 강원도(37.15%→38.61%) 1.46%포인트, 충남(22.63%→23.87%) 1.24%포인트의 순이다.

지난해 단위 면적(500㎡)당 인구밀도가 전북에서 가장 낮은 기초단체는 진안군이 43.08%로 가장 높았으며 임실군 42.71%, 장수군 40.29%로 뒤를 이었다.

국토부는 “격자 단위 인구 분포 변화를 분석하면 지자체의 총인구수 감소뿐 아니라 지역 내 인구 감소 혹은 인구 소멸 위험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고민형 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