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위기가 날로 심화되는 양상인 가운데 어떻게 하면 이 위기를 헤치고 살아남을 것인가가 뜨거운 화두로 떠올랐다. 여러 통계를 보면 지방대 위기는 절박한 지점에 와있다. 교육부에 의하면 2021년도 대학 신입생 미달 인원은 1만5천986명인데 이중 93.8%가 비수도권대학에서 발생했다. 현재 추세라면 2024년에 가면 대학 10곳 중 3곳은 충원율이 70% 이하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와 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반도체 학과 증원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수도권 대학들은 찬성인 반면 지방대들은 ‘고사’, ‘소멸’, ‘황폐화’와 같은 단어들을 써가며 반대 입장이다. 정부는 지방대 달래기 차원서 수도권과 지방대에 거의 비슷한 숫자의 증원을 제시하고 예산도 지방대에 더 할당하는 안을 내놓았다. 아울러 지방대들이 요구하는 국립대학법 제정 등도 검토 중이다.
  일부 지방대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첨단학과 증원을 시도하는 모습이다. 금오공대의 경우 정부 주관의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반도체 설계 분야의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설계, 제조 및 세트 업체 34개사가 참여하는 산업계 수요 기반 실무교육을 통해 시스템 반도체 설계 분야의 기반 기술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요컨대 반도체 등 첨단학과 증원을 계기로 지방대들이 자신들의 살길을 찾아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또 정부 역시 지방대 위기는 곧 지역의 위기라는 인식을 토대로 지방대 살리기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우리는 이런 상황서 새 정부가 제시한 가칭 ‘지역고등교육위원회’ 설치를 주목하고자 한다. 지역내 지자체가 중심이 돼 대학, 지역 산업계 등이 참여하는 기구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에서 인재를 길러 취업까지 연계해 지역 생태계를 활성화한다는 취지다.
  만시지탄의 감이 있지만 적절한 방향 설정이라고 본다. 지자체와 지역 기업들이 지방대 살리기에 적극 나서는 것은 옳은 일이다. 특히 지자체들은 과감한 지방대 지원안을 내놓아야 한다. 위원회 설치 등에 앞서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지방대에 재정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정부 구상대로 지자체가 지방대의 행정 재정 권한을 다 위임받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있다. 맞는 말이다. 정부가 지금대로 역할을 하되 지자체가 자신의 역할을 확대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열악한 지자체 재정 상태로 보아 대학에 대폭적인 지원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본다. 어쨌든 발등의 불인 지방대 살리기에 지자체와 지역 기업의 역할이 더 커져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