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재의 대표 걸작 셋을 말할 때 보통 석굴암과 국보 78호 반가사유상,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을 든다. 이는 세계적 평가다. 거기에 일본의 반가사유상 두 점과 그리스 밀로의 비너스상이 함께 거론되는 경우가 많다. 그 가운데서도 우리나라 반가사유상 두 점은 해외 나들이라도 하면 현지 언론과 전문가들의 스포트라이트를 한몸에 받는다.

반가사유상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반가부좌라는 자세를 취한 불상이다. 미륵보살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 자세는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얼굴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모습이다. 원래 반가부좌는 바닥에 앉는 게 상례지만 여기서는 대좌에 앉아 있다. 인도에서 쿠샨왕조 때 나타나며 이후 중앙아시아와 중국 등을 거쳐 우리나라엔 삼국시대인 6세기경 들어온 것으로 추정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반가사유상이 그렇게 높게 평가를 받는 것은 조각에 담긴 깊고 그윽한 미소와 우아하게 흐르는 곡선 때문이다. 특히 미소는 그 어느 작품에서 찾아보기 힘든 신비로움을 띠고 있다. 자비로움을 읽으면 그 한쪽으로는 엄한 기운이 느껴지고, 슬픔에 젖어있는가 하면 맑은 기쁨이 흘러나온다. 필설로 형용하기 어려운 숭고미라고밖에 다른 할 말을 찾기 어렵다. 곡선 역시 빼어나다. 하체의 옷자락과 다리의 굴곡은 역동적 느낌을 준다. 또 팔과 손가락, 발가락 선도 유려하고 자연스럽기 그지없다.

지난달 12일부터 이 두 점의 국보 78호, 83호 반가사유상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개돼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받고 있다고 한다. ‘사유의 방’에 모셔진 두 반가사유상은 벌써부터 5만 명이 훌쩍 넘는 관람객을 끌어들였다. 특히 외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서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사유의 방을 조회한 횟수를 보면 영문이 70%를 넘었다. 이번처럼 국보 반가사유상 두 점이 나란히 전시되는 것은 이번이 네 번째로 아주 희귀한 경우라고 한다.

‘사유의 방’ 입구에는 ‘두루 헤아리며, 깊은 생각 잠기는 시간’이라는 글귀가 걸려 있다. 원래 사유상은 성불하기 전의 태자 싯다르타가 인생의 고통을 놓고 고뇌하고 또 이를 해결하고자 마음을 닦아가는 모습이라는 해석이다. 현대는 모두들 욕망의 노예가 된 탓에 마음을 비우고 사유하는 시간이 없는 시대다. 그런 황량한 시기에 ‘사유의 방’을 찾는 건 하나의 구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잠깐이나마 고요히 생각을 가다듬고 마음속 깊은 곳에서 빛이 솟아나기를 기다리는 것도 좋을 것이다. 세상살이에 지친 이들에게 위로와 치유의 힘을 주는 ‘사유의 방’이 될 게 틀림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