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 감소가 가파르다. 최근의 젊은 층 이탈과 출산율 감소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20년 내 도내 시군 중 절반이 사라질 지경이다. 전북 소멸을 막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전북 인구는 1960년 239만 명에서 1990년 207만 명, 2000년 2000만 명 이하로 떨어졌다. 지난 10년간을 비교하면 2009년 185만4,500명이던 인구는 2019년 181만8,900명으로 3만5,600명(- 1.9%) 줄었다. 이는 전북혁신도시 인구가 2014년 1만5,327명에서 2019년 2만6,929명으로 1만602명 증가한 영향이 크다. 하지만 이후 하락세는 더욱 빨라졌는데, 2021년 4월 기준 전북 인구는 180만 명이 기준이 깨진 179만6,331명으로, 불과 2년도 되지 않아 2만2,596명(1.2%)이 줄었다. 이는 2년마다 장수군(2만1,910명), 무주군(2만3,912명), 진안군(2만5,244명) 등의 지자체가 하나씩 사라지는 속도다.

전북의 인구 하락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젊은 층과 저출산율, 농촌고령화 등의 영향을 받는다. 2009년 대비 2019년 전북인구가 1.9% 하락하는 동안 젊은이들은 괜찮은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수도권으로 이주했다. 2019년 전북의 순유출은 1만2,700명인데, 이 중 9,700명이 20대였다. 이들 20대는 서울(4,188명), 경기도(2,569명) 대전광역시(812명) 등으로 이동했다. 2009년 6,300명, 2014년 6,700명이던 20대 유출이 2019년 9,700명으로 늘어난 것은 그만큼 전북에서 괜찮은 일자리가 줄어들었음을 대변한다.

특히, 저출산율은 전북의 소멸을 가속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문제다. 2009년 남자의 20대(2만6,400명) 혼인율은 2019년 1만4,500명(-11.9%)으로 떨어졌다. 대신 30대, 40대, 50대에서 늘어난 비율은 1.2%에 불과해 결혼을 하지 않은 남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대 여자 역시 2009년 4만8,200명이던 혼인율이 2019년 2만8,200명으로 20.0% 하락했다. 대신 30대 혼인율이 7.0% 늘었을 뿐, 나머지는 역시 미혼인 상태다. 이에 2019년 전북의 출생아 수는 8,971명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여성의 평균출산연령은 32.37세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인구 고령화도 문제다. 2019년 전북 시군 중 완주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의 인구는 50대 이상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율도 42.0%로 전국(32.9%) 보다 9.1% 높다. 이는 고령화가 그만큼 심각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추세로 2040년을 전망하면 전북의 60대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과반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북의 선거구를 축소시켜 정치적 역량을 잃게 하고, 대학은 줄어들고, 일자리를 찾아 또 다시 젊은이들이 타 시도로 떠나는 악순환을 가져온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역 균형발전을 강조하면서도 수도권에 잇따라 신도시와 첨단 산단 조성을 발표하고 있다. 덕분에 인구 쏠림현상으로 지방소멸위기 역시 가속화되고 있다. 전북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전북 14개 시군 중 11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 위험 및 고위험군으로 발표된 지 오래다. 농도 전북의 근간인 농업·농촌의 위기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지역소멸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함께 지자체와 지역민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동안의 인구정책은 큰 효과를 내지 못했다.
청년농업인이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각 시군에 기반과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고, 사회구성원들에게 조건 없이 일정 소득을 지급하는 기본소득제와 청년수당 및 농민수당 도입, 결혼을 할 수 있는 여러 사회 환경 개선 등 콘텐츠 조성,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가 안전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토대 마련, 출산과 육아에 대한 구체적 대책, 다문화가정 및 이민정책 등 새로운 가족 유형에 대한 사회인식 변화 등 현실적인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 그래야 전북 소멸을 막고 공멸을 막는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