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업난이 가중되면서 미취업 청년들이 불안과 무기력에 시달리고 있지만 저조한 취업률에도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취업 지원정책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10명중 3명에 불과해 청년취업 지원과 활성화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청년 구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청년일자리인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81.1%가 현재 체감하는 청년고용이 40%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명중 8명이 현재의 청년 고용정책이나 실태에 대해 강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업의 채용축소(73.5%)와 경력직 선호에 따른 기회부족(70.3%)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했다.

특히 구직시장에서 느끼는 좌절감과 실패는 미래와 현재에 대한 불안(82.6%)과 무기력(65.3%), 우울함(55.3%) 등의 부정적 감정으로 이어졌고 과거 대기업, 고소득의 인기직종을 선호했던 분위기 역시 청년 구직자 절반 가까이(49.8%)가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밝힐 만큼 청년구직자 일자리 수요와 인식에 까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악화되는 청년취업 지원을 위한 정부·지자체의 각종 정책이나 서비스를 접해본  경험에 대해선 전체의 33.4%만이 이를 이용해 봤다 답했고 정보를 찾는 것이 어렵거나 아예 이런 제도 자체가 있는지 조차 몰랐다는 구직자도 30%를 넘었다. 청년구직자의 노력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적극적인 홍보가 미흡하고 청년들임에도 구직과 관련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없을 만큼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의미다. 

더구나 코로나19로 인한 심각한 경기위축이 1년 이상 지속되면서 고용시장은 얼어붙었고 이는 공공기관 채용 감소로 이어졌다. 기획재정부가 공시한 공공기관 경영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350개 공공기관 신규채용규모는 3만1000명으로 1년 만에 24%가 줄었고 전북도 예외는 아니어서 혁신 도시내 6개 공공기관 일반 정규직 기준 신규 채용인원은 전년대비 33%(343명)나 감소한 698.5명에 불과했다.

기업이 일자리를 늘리지 않고 공공기관마저 신규채용을 줄이는 위기 상황은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고 그 심각성에 한국은 ‘우울한 청년’의 국가가 돼가고 있다. 희망은 멀 다해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은 내놔야 한다. 불안하고 무기력한 청년들이 기댈 수 있는 버팀목이라도 지금 세워줘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