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소비자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정부가 ‘부처책임제’까지 도입해 물가잡기에 나서겠다고 밝힐 만큼 불안하다. 여기에 한은이 기준금리인상까지 단행했다. 소비자물가 급등에 금리인상까지 더해진다는 것은 결국 서민가계 옥죄기로 이어지는 불행의 악순환이기에 서민경제 위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이다.

기획재정부가 최근 '물가관계 차관회의'를 열고 1월이 연초라는 특성상 각종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조정하는 시기라는 점을 감안한대 해도 전월비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고 국제유가의 상승세 전환, 2월초 설 수요 등을 감안할 때 물가관리가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실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2%, 11월 3.8%, 12월 3.7%를 기록하는 등 고공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여기에 국제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라 한전은 2분기부터는 '연료비 연동제'를 적용해 요금을 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한바 있고 가스공사 역시 오는 5월과 7월, 10월 등 3차례에 걸쳐 가스요금을 올릴 예정이다.

더구나 최근 한은은 소비자 물가조사 결과 2% 이상 가격이 오른 품목이 최근 빠르게 늘고 있고 특히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 품목에서 2% 이상 상승한 품목 개수가 연초와 비교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불과 한 달 만에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있단 게 한은 분석이었다. 장보기가 부담스러운 단계를 넘어 겁이 나고, 외식은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이미 예상은 됐지만 한은이 14일 기준금리를 다시 0.25%포인트 올린 것과 관련해서도 최근 가계 빚이 급격히 늘고 대출의 상당수가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상황을 감안하면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어려움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커지는 인플레이션 압력에 금리인상이 불가피했다 해도 코로나19로 2년 동안 침체된 서민경제에 타격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서민가계에 진짜 겨울이 오고 있다는 경고가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불안한 틈을 이용해 서민물가를 주도하는 업계들의 가격 담합 등 불공정거래행위 적발 소식이 분노를 일게 할 정도로 민심은 불안하다. 생활물가 불안 잠재우기에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그래야 정부가 물가상승세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