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메가시티’ 구축 움직임이 활발하다. 인구, 지역내총생산, 연구개발비 등 다양한 항목에서 수도권 집중이 가속화되고 있어서다.
주요 거점 도시들이 비수도권의 인재와 기업을 급속으로 흡수하면서 지방의 자구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 지난해부터 비수도권의 초광역화 움직임이 탄력을 받고 있으며, 동남권 메가시티(부·울·경)가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전북 역시 호남에 종속되지 않고, 독립변수로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고 있는 만큼 독자적 메가시티 구축을 위해 ‘전북형 광역화' 작업에 첫걸음을 뗐다.

▲전라북도 광역화 방안 용역 착수
송하진 도지사는 올 신년 기자회견에서 광역화 작업을 본격 시작해야 한다고 운을 띄웠다. 수도권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 현재, 비수도권의 도시·지역 광역화는 피할 수 없는 추세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역 단위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인구가 필수적으로 뒷받침 돼야 한다.
이러한 요인들로 송 지사는 기자회견 당시, ‘행정통합형’, ‘생활광역화’, ‘기능형 광역화’ 등 구체적인 사례를 들며 광역화 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3기관을 통한 별도의 용역을 진행, 광역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전북도는 13일 ‘전라북도 광역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용역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수행하게 될 이번 용역은 이달 3일부터 11월 28일까지 7개월간 진행되며, 총 7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과업 내용은 △정부 광역화 정책 및 타 시·도 초광역화 동향 분석 △기존 전북도 광역개발계획 분석 △전북 독자권역 구축 SWOT 분석 △전북도 광역화 개편방안 수립(행정통합형, 생활권역, 기능형 등) △선도 프로젝트 및 단계별 추진 구상 등이다. 도는 오는 7월 1차 용역 중간보고를 갖고 8~9월 사이에 토론회, 14개 시군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10월에 2차 중간보고를 연 뒤 11월 최종안을 발표한다.

▲실현까지는 ‘산넘어 산’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5월 발표한 전라북도 인구 소멸 위기지역 현황을 보면, 도내 14개 시군 중 11개 시군의 소멸위험지수가 ‘위험’과 ‘고위험’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군산·익산 등 3개 시군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시군이 소멸위기에 놓인 셈이다. 특히 임실군은 도내 인구소멸위험지역 11곳 중 고위험지역(0.2미만)에 포함되면서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지역이 됐다.
도내 14개 시군 중 인구 10만을 넘는 지역은 전주와 익산, 군산, 정읍 등 4곳에 불과한 상황. 게다가 출생에 따른 인구증가나 외부유입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전북의 생존을 위해 지역 내 광역화는 필수적이지만, 정치적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고 주민들의 여론도 일정치 않아 행정체제 개편 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관계자는 “용역 결과가 나오면 그에 따라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도에서 한다고 할 수 있는 게 아닌 만큼 시·군 및 오피니언리더 등과 교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7월 용역 1차 중간보고안이 나오면 각 의견을 수렴해 생산적인 방식으로 논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