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청이 새로운 20년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 개발 방향을 재설정하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새만금 수변도시 조성사업 관할구역 분쟁에 대해 심정은 이해하지만, 사업의 축이 무너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해 사업 강행을 시사했다.
김현숙 새만금개발청장은 28일 전북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새만금 기본계획 재정비와 내부 연결도로 등 필수기반 시설 구축을 위한 국비확보에 집중하겠다는 의중을 밝혔다.

개발청은 올해 새만금 1단계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이를 기점으로 변화된 사회적 여건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학술분야와 기술분야로 나눠 기본계획 정비를 추진한다.
코로나19로 주목받고 있는 그린뉴딜, 4차 산업혁명 등의 정책여건을 받아들여 새만금 사업의 기능적 역할을 재정립하겠다는 것이다.
리쇼어링에 대한 지원책을 정부에서 마련중인 가운데, 지역에서는 이미 재생에너지라는 인센티브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기업유치에 적극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김현숙 개발청정은 이날 “유턴기업 유치를 위해 도, 군산시와 긴밀하게 협의해서 조금 더 유리한 인센티브를 제안하고, 기업들이 호감을 가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가겠다”고 말했다.

최근 새만금 태양광 배정과 수변도시 조성사업 등 문제가 제기되는 사항에 대해서도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놨다.
김현숙 청장은 “태양광은 각 주체마다 배정 목적이 있었다”며 “200메가 와트가 배정된 새만금 개발공사의 경우 새만금 개발공사에 필요한 이익금을 가지고 다시 새만금에 재투자할 수 있어서 마중물 역할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또한 “군산이나 김제, 부안, 전북에 배정된 것은 새만금 사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민폐에 대한 일종의 보상차원에서 이뤄지게 됐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간 갈등과 분쟁을 격화시킨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새만금 수변도시 조성에 대해서는 주체들이 이야기하면서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다고 답했다.

김 청장은 “2024년 매립이 완료되고, 이후 시설물이 올라가기까지 5년은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며 “그럼 2029년부터나 인구유입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때까지 충분히 논의해서 풀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능하다면 얽혀있는 사업들이 미약하지만 힘을 보태는 상황이기 때문에 힘 축이 무너지지 않길 바란다”고 전했다.

끝으로 그는 기재부에서는 새만금에 예산이 너무 많이 투입된다는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속도감 있게 사업들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새만금이 언제 다시 호기를 맞을 수 있을지 장담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문별 진도가 빠르게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청장은 “크고 작은 이해관계들이 부딪치면서 염려스러운 부분들도 있겠지만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