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개학이라는 사상 초유의 카드를 빼들었다. 이번 조치는 1주 연기, 2주 추가 연기에 이어 세 번째 연기된 것으로 방역과 교육 사이에서 나온 고육지책이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고 하지만 소규모 집단감염이 이어지는 속에서 개학 연기는 학생의 안전을 위한 적절하고 불가피한 조치라 할 수 있다.
정부는 우선 장기화한 휴업으로 학생들의 학습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중·고등학교 3학년부터 4월 9일 온라인 수업으로 학교 문을 열기로 했다.
그러나 이번 정부의 온라인 개학 관련 대책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빠졌다. 사실상 무기한 휴업이 예고된 상황이다.
이로 인해 맞벌이 부부들의 고민은 더 깊어 졌다고 한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연차는 바닥난 지 오래다. 그렇다고 육아와 병행하는 재택근무는 효율성이 떨어져 장기적 대안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나마 아이 조부모님 '찬스'로 하루하루 버텨온 맞벌이 부부들의 경우 개학 연기 기간이 한 달 이상 길어지면서 이젠 온 가족이 한계에 부딪쳤다고 한다.
실제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11~19일 사업주와 13세 미만 자녀를 둔 직장인 9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42.6%가 휴원·휴교 기간 조부모나 친척에게 자녀돌봄을 부탁했다는 조사결과다.
36.4%는 부모가 직접 돌봤고, 14.6%는 긴급돌봄을 선택했다. 자신이 자녀를 직접 돌본다고 답한 직장인은 연차유급휴가(25.8%), 재택근무 등 유연근무제(25.3%), 가족돌봄휴가(23.6%) 등을 주로 활용했다.
돌볼 사람을 찾지 못한 많은 직장인들은 자녀 돌봄을 위해 직장을 그만둬야 할 위기에 처했다고 호소하고 있다.
현재 정부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 ‘긴급돌봄’이었다. 하지만 조사에 나온 결과만 봐도 실제 참여율이 매우 낮다. 돌봄 프로그램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데다 학부모들이 집단돌봄에 따른 감염 우려를 떨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코로나19와 같은 일은 또 발생할 수 있다. 자녀 세대를 돌보고 보호하는 일은 우리 사회의 미래와 존속이 걸린 문제로 아이들의 돌봄만큼 절실하고 필요한 해법은 없다.
현재의 긴급돌봄 확대가 해결 방법만은 아니다. 정부는 자녀 안전을 가정이 돌볼 수 있도록 사회·제도적 보완책 마련에 나서 근본적인 돌봄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