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값을 잡겠다며 시작된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결국 서울과 지방간 부동산가격 격차만 벌이면서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경우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타고 있는데 반해 전북 대부분 지역 아파트는 매매가격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더욱이 추가하락 예상으로 매매까지 뜸해지면서 전세가격에 까지 영향을 미쳐 자칫 역전세로 인해 제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까지를 걱정해야 할 만큼 부동산시장이 가라 않았다. 정부는 전국적으로 부동산이 안정화됐다고 주장하지만 전북은 안정화가 아니라 오히려 폭락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을 맞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감정원이 올 12월 첫째 주 아파트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하락폭을 키운 -0.08%였다. 강원도의 -0.10%에 이은 전국 두 번째로, 그동안 지방 아파트 하락세를 주도했던 경남이나 경북보다 하락 폭이 컸다.
실제 전북 아파트가격 흐름을 주도하는 전주시의 경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선 에코시티신도시 등 몇몇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에서 최근 1~2년 사이 최대 수천만원대의 가격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신도시 중심의 아파트 공급 확대가 이어지면서 주변 아파트들 가격이 약세로 전환되는 것으로 집 없는 서민들의 내 집 마련기회가 늘어나고 전세가격 하락으로 인한 주거안정의 기대치는 높아진 반면 부동산가치 하락에 대한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 역시 이에 비례해 커지고 있다. 여기에 2~3년 전 전주시내 아파트 전세가격이 매매가의 80~90%를 육박했던 시기에 전세계약을 맺은 가구들은 역전세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까지 마주하게 됐다.  실패한 정책이란 평가가 주를 이루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서울아파트 가격은 폭등하고 있는데 반해 지방 주택시장은 시간이 흐를수록 침체되는 악순환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 집값 잡겠다며 전국에 공급을 늘린데 따른 부작용이 지방주택시장에 고스란히 전가되면서 자칫 지방경제 악화로 까지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서울이 문제인데 전국을 동일시하는 정책이 계속된데 따른 우려했던 결과가 현실이 되도록 해선 안 된다. 세심한 족집게 정책을 포함한 주택공급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방은 지금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가라 앉고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