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발생 산불의 70% 이상이 집중되는 ‘봄철 산불조심 기간’ 동안 전국적 산불 건수는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한 반면, 전북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겨울부터 봄까지 이어진 극심한 가뭄과 건조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전국 8개 광역 시·도 중 산불이 가장 적게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전북도와 14개 시·군의 적극적 대응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도는 21일 14개 시·군과 함께 지난 2월1일부터 지난 15일까지 진행한 ‘산불조심 기간’ 운영결과를 발표하고, 총 15건의 산불로 1.48ha의 산림이 소실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7건 보다 2건(12%)이 줄어든 것이고, 피해면적(1.48ha) 또한 지난해 2.4ha보다 38% 감소한 것이다.
또,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최근 10년 평균 산불 17.1건(11.75ha)보다도 적은 건수다.
전국적으로 살펴보면, 경기 127건(38.44ha), 경북 100건(48.64ha), 경남 58건(8.43ha), 강원 57건(2874.25ha·대형 산불로 인한 피해면적 가장 큼) 등의 순으로 많은 산불이 발생했다.
전국 총 산불건수는 520건(피해면적 3065.16ha)으로 전북은 이중 2.88%(피해면적 0.05%)의 비중을 보였다.
도는 ‘산불조심 기간’ 운영 전부터 봄철 영농철 시작과 함께 논·밭두렁 및 영농폐기물 등의 소각 행위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14개 시·군과 협업을 통한 ‘녹색 서약 참여마을’을 지난해 대비 10% 확대(2648개)하는 등 대응책을 펼쳐왔다.
‘녹색 서약 참여마을’ 협약은 매년 산불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논·밭두렁 소각행위 근절과 농·산촌 주민들 대상의 산불 경각심 향상을 위한 도의 예방 정책 중 하나다.
이와 함께 도는 입산통제구역 327개소(9만ha), 폐쇄등산로 82개 노선(441km)을 지정해 산불예방 및 감시활동을 강화했다.
또, 산불상황관제시스템 가동과 산불 감시원에게 위치정보(GPS) 단말기 800대를 지급하는 등  실시간 상황 전달을 통한 초동진화 신고체계를 구축·운영했다.
이밖에도 지난 2010년부터 산불 진화용 헬기 3대를 임차해 도내 동북부산악권(임실), 동남부산악권(남원), 서부해안권(고창)에 권역별로 분산 배치·운영했다.
김용만 도 환경녹지국장은 “1년 산불의 70% 이상이 2월부터 5월 사이에 발생한다”면서 “올해의 경우, 연 초부터 강력한 대응태세를 통해 큰 피해를 막았지만 산불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만큼, 도민 모두가 산불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