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단행되고 있는 정부고위직 인사에서 전북출신 인사들이 줄줄이 물러나고 있다. 청와대는 물론이고 각 부처에서 활동했던 지역 인사들의 급격한 감소는 지역과 중앙의 소통부재로 인한 주요정책의 심각한 엇박자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단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청와대수석에서부터 장차관인사에 이르기 까지 전북과 연고를 가진 적지 않은 인사들의 적극 기용은 그동안 실효를 거두지 못했던 현안이었던 ‘전북 몫 찾기’가 어느정도 균형을 잡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게 했던 게 사실이다. 그리고 이들 역할이 어느 정도 였는지 드러나고 체감하는 부분이 크게 와 닿지는 않지만 어려움이나 부당함을 직접 호소하고 직접 건의할 수 있는 통로가 됐었단 점만으로도 도민들에겐 위안이었다.
하지만 최근 문정부 집권 3년차를 맞아 단행된 인사는 전북출신 줄 사퇴로 요약된다. 그리고 이들의 빈자리가 전북몫으로 돌아오지 않으면서 다시금 지역 홀대론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현 정부 출범 후 35명에 달했던 전북출신 장·차관급, 청와대 수석·비서관, 공공기관장의 수는 최근 19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최근 정부가 차관급 인사에서 ‘호남출신을 대거 중용했다’고 자평했지만 이는 광주.전남출신 4명의 차관발탁을 호남으로 표현한 것으로 전북출신은 오히려 줄었다. 그나마 연결고리가 단절되면서 산적한 지역현안들이 또다시 뒷전으로 밀릴 수도 있다는 걱정이 앞서는 이유다.
정부인사가 정실인사로 흐르면 물론 안 된다. 실력과 자질도 없는 인사들이 특정 지역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등용돼서는 더욱 안 된다. 그럼에도 정부 정책이 원칙과 당위성, 필요성에 근거해 추진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지역이 처한 현실을 감안한, 정치적 배려가 감안된 결정 역시 적지 않다는 점에서 모든게 열악하기만 한 지역의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이다. 더구나 전북이 호남으로 연계되면서 오히려 불이익을 받는 현실적 문제점을 타파하고자 전북 독자권역 설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을 대변해줄 고위직의 급격한 세 위축은 심각한 우려를 주기 충분하다. 
내년 총선을 위해 부처를 떠나야할 인사, 변화를 위해 교체가 불가피한 부처 등 아직도 인사요인은 여전하다. 원칙 있는 인사 못지않게 중요한 게 균형 잡힌 인사다. 집권초기의 초심이었던  ‘지역인재 고른 등용’이 아쉬운 지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