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으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지역과의 상생발전에 앞장서 달라는 지역의 목소리에 여전히 귀를 닫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전 공공기관들이 지난해 발주한 용역 가운데 도내 업체가 수주한 것은 10%에도 미치지 못할뿐더러 신규 채용인원 가운데 전북 출신은 14%에 그치면서 지역경제 기여도가 현저히 낮았다.

지역경제 기여도가 낮은 공공기관은 아무리 덩치가 커도 유명무실해 향후 2차 공공기관 이전 때 대상 공공기관을 철저히 분석하고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3일 전북도 및 전북도의회 이명연 의원 등에 따르면 전북혁신도시 13개 공공기관 가운데 11곳이 지난해 발주한 용역 계약금액은 총 1046억원으로 이중 전북 업체가 따낸 것은 82억원(7.8%)에 그쳤다.

기관별로는 국립식량과학원이 56.4%로 도내 업체에 가장 많은 용역을 줬고 국립축산과학원 47.7%, 국립농업과학원 42.3%, 국립원예특작과학원 39.4%, 지방자치인재개발원 15.8% 등이었다.

이어 농촌진흥청 10.9%, 한국전기안전공사 9.6%, 한국식품연구원 5.1%였으며 농업기술실용화재단(1.9%),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0.9%), 국민연금공단(0.5%)은 1% 안팎으로 매우 저조했다.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한국농수산대학 등 2곳은 자료 공개를 거부했다.

이는 용역 금액이 2000만원을 넘을 경우 전국 업체를 대상으로 입찰을 해야 한다는 규정으로 지역 업체에 혜택을 줄 수 없다는 게 공공기관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이 같은 수치가 물품과 공사계약을 제외한 용역임을 감안한다면 수많은 물품과 제조, 용역 등이 타지역 업체들이 독식하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 지역 내 고용기회 확대와 지역인재 유출 방지 차원에서 추진하는 지역인재 채용비율도 전국 평균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로 이전한 13개 기관 중 국가기관 7곳을 제외한 6개 공공기관의 지난 3년(2015~2017년)간 전체 채용인원 1992명 중 전북 인재 채용은 282명(14.1%)으로 전국 평균(325.6명) 보다 43.6명이 적었다.

이는 공공기관들이 여전히 수도권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 탓으로 지역물품과 제조 등을 일정비율 구매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 공공기관 평가 항목에 지역경제 기여도가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명연 의원은 “전북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에도 뚜렷한 대책 마련 없이 혁신도시 시즌2를 준비하는 것은 사상누각(沙上樓閣)과 다름없다”면서 “전북도 차원에서 공공기관의 지역정착 실태조사와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혁신도시 시즌2 유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