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주민들의 비만율이 건강을 위협할 정도로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반대로 잘 사는 동네일수록 비만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 사는 동네 인구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뿐만 아니라 생활체육 인프라가 잘 갖춰졌기 때문에 비만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농촌지역 주민들은 평소 많이 움직인다고 생각하는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적은데다가 식습관도 비규칙적이었으며, 생활체육 인프라마저 없어 비만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농촌주민의 비만율이 높은 이유로 식습관을 먼저 지목했다. 바쁜 농사일 탓에 급히 식사하고, 새벽일을 위해 저녁밥을 먹고 바로 잠들며, 술을 자주 많이 마시고, 염분이 높은 음식을 자주 섭취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생활체육 인프라가 부족한 것도 원은으로 꼽혔다. 도시에는 헬스클럽이나 각종 운동 동호회가 있어 운동 분위기가 자연스럽다는 말이다. 또한 자가용이나 경운기, 전동휠체어 등을 사용하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아 걷기 수준이 낮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우선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농촌주민들의 노력이 필요하고, 생활체육 인프라도 늘려 운동을 하고 싶은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한다고 지적한다. 전북지역 대부분 농촌의 비만율 역시 강원도와 큰 차이가 없다. 농촌주민들을 운동하게 해야 한다.
오피니언 opinion@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