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세계유산과 각종 문화재 지정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관리 인원은 턱없이 부족해 인력보강이 시급하다.

지방청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문화재청이 국가지정문화재 관리업무 대부분을 지자체에 떠넘기고 있기 때문으로 관리 문화재가 많다 보니 관리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6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종배 의원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의 지자체 관리 문화재는 722점이 있으며 문화재청으로부터 관리책임을 위임받은 국가지정문화재 105점, 시·도지정문화재 618점이 있다.

하지만 전북지역 국가지정문화재 중 문화재청에 관리책임이 있는 105점 가운데 문화재청이 직접 관리하고 있는 것은 단 1점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문화재를 본청이 있는 대전에서 근무하는 문화재청 공무원들이 전국의 모든 국가지정문화재들을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관리책임을 각 지자체에 떠넘기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북 문화재 담당 인력은 93명(1인당 7.8점)으로 충북(12.2점), 경남(10.5점), 전남(9.1점)에 이어 1인당 관리 숫자가 전국에서 4번째로 많다.

때문에 지자체에서 국가지정문화재의 관리를 떠맡게 되다 보니 그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문화재 관리부실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1985년 이후 도내에서는 수백여 점의 문화재가 도난당했지만 현재까지 회수되지 않은 문화재는 31건에 이른다. 이중에는 보물 2점과 천연기념물 1점을 포함해 중요민속문화재·전북도 유형문화재·전북도 문화재자료 각 1점씩이 포함돼 있다.

또 문화재청 공무원에 비해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지자체 공무원들에 의해 사업추진이 되는 게 많다 보니 사업추진이 장기화되는 것도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북도의 경우 문화유산·예술과 기반으로 한 관광산업 육성을 민선 6기 중점사업으로 선정해 추진 중이어서 문화재를 관리할 전담인력 보강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문화재청이 각 지방청 신설을 통해 문화재 관리 업무의 효율화를 제고하고 국가사무와 지방사무를 이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